총 게시물 7건, 최근 0 건 안내 RSS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공지]

영상 미디어 관련 용어

에듀고시넷 2014-10-25 (토) 22:39 9년전 9630
https://www.edugosi.net/b/sense_data-4


▷ 4:1:1
통 상 비디오 신호가 콤포넌트 디지털화 할때의 샘플링은 휘도신호(Luminance Signal -> Y)와 두 개의 색도신호 (Chrominance Signal -> R-Y, B-Y)를 대상으로 하는데, 4:1:1 이란 값은 휘도(Y)의 값이 4번 샘플링 될 때 색도의 값(R-Y, B-Y) 두가지가 각각 1번씩 샘플링되는 것의 비율을 용어화 한 것입니다. Panasonic의 DVC-PRO의 샘플링 비율이 4:1:1입니다. 왜 동일한 샘플링 비율로 신호를 추출하지 않을까요. 이유는 단순합니다. 동일한 비율로 추출하면 화면의 질은 좋아지지만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용량이 무척 커지게 되지요. 합성과 같은 경우의 고품질 비디오 사용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일반적인 재생시에 4:1:1과 4:2:2 내지는 4:4:4 의 차이를 사람이 눈으로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사람의 눈은 휘도 신호에는 민감하지만 색도 신호에는 둔감한 생체이론을 고려한 샘플링 비율입니다.
 
▷ 4:2:0
4:2:0 란 값은 휘도(Y)의 값이 4번 샘플링될 때 색도의 값(R-Y, B-Y) 이 각각 한번씩 교대로 2번 비율로 샘플링되는 것의 비율을 용어화 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처음에는 Y값의 샘플링 이후에 R-Y 값이 샘플링되고 그 다음에 또 Y값의 샘플링 이후 B-Y의 값이 샘플링되는 순서입니다. 표준적인 DV나 DVCAM방식, MPEG2 MP@ML 방식이 4:2:0의 샘플링 비율을 사용합니다.
 
▷ 4:2:2
4:2:2 란 값은 휘도(Y)의 값이 4번 샘플링될 때 색도의 값(R-Y, B-Y) 두 가지가 각각 2번씩 샘플링되는 것의 비율을 용어화 한 것입니다. 색도의 해상도 또는 색도의 데이터 양이 위의 4:1:1 이나 4:2:0 보다 2배가 됩니다. 이것은 크로마키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키 작업이나 많은 레이어를 이용한 합성과정이 존재하는 포스트 프로덕션(전문 합성 편집실)에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JVC의 D9나 Sony의 Digital Betacam, Panasonic의 DVCPRO 50 또는 MPEG2 422 P@ML등의 포맷이 4:2:2입니다.
 
▷ 4:2:2:4
이 샘플링 비율은 4:2:2 신호에 키시그널 즉, 알파채널이 휘도신호(Y-Signal)의 형태로 포함된 것을 의미합니다.
 
▷ 4:4:4
4:4:4 란 값은 휘도(Y)의 값과 두 가지 색도의 값(R-Y, B-Y)이 동일한 비율로 샘플링된 것을 의미합니다. 아주 고급의 특별한 합성장비에서나 쓰이는 포맷입니다.
 
▷ 5.1 Audio
통상적인 right, left 2채널의 오디오에 대비해서 총 5채널(Left, Right, Center, Rear Left, Rear Right)의 독립적인 오디오와 저음부를 담당하는 서브우퍼를 포함하는 사운드 체계를 말합니다.
 
▷ AES/EBU
AES(Audio Engineering Society)와 EBU(European Broadcasting Union)라는 단체가 만든 디지털 오디오의 표준을 말합니다. 아날로그 오디오와 같이 각 채널을 각각의 독립된 선로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디지털 오디오로 구성된 모든 채널의 신호를 하나의 선로로 전송합니다. 통상 32, 44.1, 48Khz의 샘플링 주파수, 그리고 16bit, 20bit, 최대 24bit의 해상도를 가집니다.
 
▷Assemble Edit
통상적인 비디오편집에서 insert edit에 대칭되는 용어로서 편집점 이후의 모든 데이터는 지워지고 새롭게 기록이 되는 모드입니다. insert edit의 경우에는 비디오나 오디오 트랙 중 일부의 트랙만 지우고 원하는 부분만큼을 대치하는 개념인 반면에 assemble edit는 독립된 erase head로 테이프의 단면을 모두 지우고 다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타임코드등을 새로이 기록합니다.
 
▷ Aspect Ratio
영상신호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을 말합니다. NTSC, PAL, SECOM 신호는 모두 4:3의 aspect ratio를 가지고 있고, HDTV나 PAL plus는 16:9의 aspect ratio를 가집니다. 16:9의 aspect ratio는 인간의 시야각에 적합한 비율이지요.
 
▷ AUX
AUXiliary의 약자로서 보조적인 혹은 별도의 비디오, 오디오 입력을 말합니다.

▷ AVI
Audio Video Interleave의 줄임말로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디지털 비디오를 위해 개발한 포맷입니다. Audio 한 프레임과 Video 한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형태로서 비압축의 데이터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각종 압축 코덱을 사용하여 그 사이즈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현재 윈도우 기반의 편집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데이터 포맷입니다.
 
▷ Batch Capture
디 지털비디오 편집을 위한 영상을 캡쳐하는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미리 준비된 캡춰 리스트를 이용하여 캡춰의 과정을 자동적으로, 그리고 일괄(batch)하여 수행합니다. 대치되는 개념으로는 Live Capture, 수동 Capture 등이 있습니다.
 
▷ Betacam
1/2 인치의 테잎을 사용하는 아날로그 컴포넌트 신호체계의 한 종류로서 SONY가 개발한 장비의 Brand가 표준화하였습니다. Y신호와 R-Y, B-Y 신호를 분리하여 전송함으로 콤포지트 신호나 S-VHS 신호와 대비해 많이 개선된 화질을 유지합니다.
 
▷ Betacam SX
MPEG2를 기반으로 하여 18Mbits/sec의 데이터 레이트(표준 Betacam 방식의 1/10의 데이터 레이트)를 유지하는 소니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체계입니다.
 
▷ Black Burst
휘 도와 색도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비디오 신호로서 검정으로 보입니다. 이 신호는 온라인화된 업무용, 방송용 시스템의 레퍼런스(reference)신호로 사용되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synchronizing)시킬 때 사용합니다. 일반 VHS급의 장비나 가정용 DV장비는 이 신호가 필요없습니다.
 
▷ BNC
Bayonet Neil-Concelman의 줄임말이 기술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업무용, 방송용 장비의 비디오와 오디오 입출력에 사용되는 단자로서 아날로그뿐만 아니라 디지털의 영역에서도 쓰이고 있습니다.
 
▷ Broadcast Quality
직 역하면 방송에 적합한 영상 품질이라고나 할까요. 통상 Beatcam SP급의 장비에서 나오는 수준의 신호를 방송용 품질을 가졌다고 합니다. 가변압축비를 갖는 Analogue M-JPEG 영상 편집보드를 기준으로 할 때는 2:1미만의 압축비와, 50Mbits/Sec의 데이터 레이트를 말합니다. 그러나 요즘 많이 쓰이는 DV계열의 편집보드는 원시소스의 품질이 방송용 품질의 기준이 됩니다. DV보드 자체에서는 신호의 열화(degeneration)가 이론적으로는 없기 때문이죠.
 
▷ Capture
비 선형편집시스템(non-linear editing system)에서 비디오나 오디오 소스를 하드디스크에 디지타이징(digitizing:컴퓨터에서 인식하는 신호로 만들기 위하여 디지털 부호화하는 것)하고 레코딩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 CCIR
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 Radiocommunications의 줄임말로 현재 ITU에 흡수된 표준화 위원회의 명칭입니다.
 
▷ Chroma Keying
영 상의 특정한 색을 키(key:알파채널과 동의어)로 하여 그 부분의 이미지를 다른 영상이나 색으로 대체할 때 쓰이는 효과. Blue나 Green이 촬영시 색번짐이 적고 인물의 피부색과 보색대비가 되어 많이 쓰입니다. keying 항목에 자세히 설명됩니다.
 
▷ Component Signals
휘도(Y)와 색도(R-Y, B-Y)의 값 세가지가 분리되어 있는 신호를 말합니다. 아날로그 컴퍼넌트 신호의 대표적인 체계는 Betacam SP, 디지털 콤퍼넌트의 대표적인 체계는 Digital Betacam, D-1등입니다.
 
▷ Composite Signal
휘도(Y)와 색도(C)가 혼합되어 있는 신호를 말합니다. 일반적인 가정용 VHS신호나 구형의 U-matic, 1inch VTR 같은 경우가 이 신호에 해당됩니다.
 
▷ Compositing
합 성이라고 합니다. 멀티레이어 작업, 다중 키작업, 멀티레이어의 자막작업등이 포함됩니다. 다중의 소스를 결합하는데 있어서의 소스 재생의 어려움이나, 화질보존의 어려움 때문에 합성은 대부분 컴퓨터 기반의 합성작업기기나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 Compression
압 축이라고 합니다. 비 압축상태의 영상소스를 현재의 통상적인 컴퓨터시스템에서 원활하게 다루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영상소스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며 데이터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압축의 목적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압축의 알고리즘은 이렇습니다. 1초에 30장으로 구성된 영상은 미세하게 분석하면 어느 특정프레임의 앞뒷장은 상당이 많은 중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복된 데이터는 생략하고 중복되지 않은 데이터만 유지하면 중복된 데이터의 생략분이 데이터사이즈에서 제외됩니다. 이래서 전체적으로는 원래의 데이터사이즈보다 압축이 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MPEG, JPEG, M-JPEG라는 용어가 이러한 압축방법의 종류들입니다.
 
▷ Compression rate
원래 데이터 사이즈와 압축된 데이터 사이즈의 비율을 말합니다. 압축률과 데이터의 품질은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데이터를 많이 압축하면 그 사이즈는 작아지나 화질을 떨어지고, 데이터를 덜 압축하면 그 사이즈는 커지나 화질을 좋아집니다. 데이터의 사용용도에 맞게 압축률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특정한 압축률, 예를 들어 5:1의 압축률을 가진 데이터는 어떠한 하드웨어에서 압축되었는냐, 어떠한 방법으로 압축되었느냐에 따라 절대 품질은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 CTL
Capstan Track Logic 의 줄임말로 방송용급의 비디오테잎(예를 들어 U-matic, 1 inch, BetaCam, D2, D1등의 VCR에 사용하는 업무용 이상 방송용 수준의 비디오테잎)에 영상이 기록될 때 한 장의 프레임마다 동일하게 기록되는 펄스신호를 말합니다. 이 신호는 홈 비디오의 테잎 주행에 관한 카운터와 비슷한 개념으로 테잎의 어느 특정위치를 기억하는 절대적인 주소는 아닙니다. 언제든지 0으로 reset될 수 있는 상대적인 주소이지요. 절대적인 주소를 부여하는 LTC, VITC, ASTC와 같은 타임코드와는 다릅니다.

▷ D1
디지털 영상과 음성 기록에 관한 표준규격으로서 19mm(3/4인치)폭을 갖는 비디오 테잎에 4:2:2방식으로 샘플링한 디지털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와 4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합니다. 8bit 양자화(Quantitization)수치를 가집니다. D1 테잎의 최대기록가능 시간은 94분입니다. D1 VCR은 현존하는 가장 고가의 VCR이기도 하며, 가장 고화질의 VCR이기도 합니다. 하이엔드 포스트 프로덕션에서 주로 쓰이며 절대적인 화질로 다중 레이어 작업을 수행할 때 원시소스의 보관이나 백업용도로 많이 쓰입니다. Sony와 BTS(Philips회사의 방송장비 메이커)에서 생산합니다.
 
▷ D2
디지털 영상과 음성 기록에 관한 표준규격으로서 19mm(3/4인치)폭을 갖는 비디오 테잎에 디지털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휘도와 색도가 분리되지 않고 혼합되어 있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4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합니다. 아날로그 컴포지트 신호는 8bit로 양자화되어 디지털로 변환됩니다. D2테잎의 최대기록가능 시간은 D1테잎과 동일한 카셋트 사이즈를 기준으로 할 때(D1과 D2테잎은 생긴 것도 똑같습니다. 그러나 상호 호환성은 없습니다) 208분입니다. 공중파 방송국에서 현재처럼 Digital Betacam(디지탈 베타캄은 디지털 컴포넌트입니다. D2보다 화질이 훨씬 좋습니다)이 표준화되기 전에 외국의 선진 방송국(일본 NHK, 미국의 알만한 모 방송국 등)에서 사내의 표준 VCR과 표준 테잎으로 쓰였던 체계입니다. Sony와 AMPEX(미국방송장비 회사, 세계 최초로 2인치 릴테잎형 비디오 녹화기를 개발한 유명한 회사)에서 주로 생산하였습니다.
 
▷ D3
디지털 영상과 음성 기록에 관한 표준규격으로서 12.7mm(1/2인치)폭을 갖는 비디오 테잎에 디지털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와 4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합니다. 아날로그 컴포지트 신호는 8bit로 양자화 되어 디지털로 변환됩니다. D3 테잎의 최대기록가능 시간은 245분입니다. D3 표준은 일본 Panasonic에서 개발되어 낮은 장비가격과 보다 긴 기록시간으로 Sony의 D2체계와 한때는 라이벌이었습니다만 현재는 Digital Betacam에 밀려서 별로 볼 수 없습니다. 국내에는 거의 소개된 바가 없습니다.
 
▷ D5
디지털 영상과 음성 기록에 관한 표준규격으로서 12.7mm(1/2인치)폭을 갖는 비디오 테잎에 4:2:2방식으로 샘플링한 디지털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와 4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합니다. D5 테잎의 최대기록가능 시간은 123분입니다. D1체계가 8bit로 양자화(quantitization)하는데 비해서 D5체계는 10bit로 양자화 합니다. Sony가 고가의 D1 VCR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체계로서 Digital Betacam이 엄밀히 말하면 D5체계에 해당됩니다.
 
▷ D6
BTS회사에서 D1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HDTV대응 디지털 컴포넌트 신호의 기록 체계입니다. D1과 동일한 19mm(3/4인치)폭을 갖는 비디오 테잎에 비디오신호와 12채널의 디지털오디오 신호를 기록합니다.
 
▷ D7
공식적인 명칭은 DVC Pro입니다. Panasonic에서 개발하고 표준화시킨 체계입니다.
 
▷ DAT
Digital Audio Tape의 약자로 48Khz, 16bit 내지는 20bit로 디지털 오디오를 녹음하는 테잎 또는 테잎을 넣어서 녹음하는 장비

▷ Data Rate
특 정한 길이의 시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냅니다. M-Jpeg 압축체계처럼 프레임 단위로 영상을 처리하는 체계에서는 단위 프레임을 압축하는 Compression Rate(압축률)라는 개념이 해당되지만 MPEG 압축체계처럼 영상을 특정한 형태의 그룹으로 묶어서 다루는 경우에는 단위시간당 데이터의 전송량(Data Rate)을 그 값으로 표현합니다.
 
▷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의 약자로서 19mm(3/4인치)폭을 갖는 비디오 테잎에 디지털 컴포넌트 영상과 4채널의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포맷입니다. DCT 테잎의 최대기록가능 시간은 190분입니다. Ampex에서 개발되었습니다. 그 이론은 꽤 어려워서 생략합니다. 수학이 약해서 cosine 말만 들으면 멍해지는군요.
 
▷ Digital 8
6mmDV테 잎 대신에 Hi-8비디오 테잎에 DV신호를 기록하는 체계로서 6mmDV가 12트랙에 1장의 이미지를 저장하는데 비하여 Digital 8은 6개의 트랙에 한 장의 이미지를 저장합니다. DV와 마찬가지로 오디오처리는 12bit 32Khz 모드로 4채널, 16bit 48Khz 모드로 2채널을 기록합니다.
 
▷ Digital Betacam
아날로그 Betacam SP의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디지털 포맷의 장비가 말그대로 Digital Betacam입니다. Betacam SP와 동일한 사이즈의 카셋트를 사용합니다. DCT포맷에 기초한 2:1의 압축률을 갖는 디지털 컴포넌트 체계입니다. 믈론 4채널의 디지털 오디오를 처리합니다. 10bit로 양자화를 수행하며 모델명에 A자가 붙은 타입(예를 들면 DVW-A500)은 아날로그 Betacam SP테잎도 재생합니다. 그러나 아날로그 모드로 녹화는 하지 못합니다. 아날로그 Betacam SP와 거의 동일한 테잎 구동 메카니즘에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능력을 부여하기 위해 헤드의 회전속도가 매우 빨라져 헤드의 내구성은 아날로그 Betacam SP보다 많이 떨어지는 것이 아쉬운 점입니다.
 
▷ DDR
Digital Disk Recorder의 약자입니다. 말 그대로 신호를 테잎에 기록하지 않고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비입니다. 이때 말하는 하드디스크는 컴퓨터에 쓰이는 일반형 하드디스크가 아닌 AV신호를 처리하기 적합하게 설계된 고속, 고성능의 하드디스크를 말합니다. 통상 비선형 편집장비 (Non-Linear Editing System)의 데이터 저장장치로 사용되거나, 3D Graphic 소스의 보관 및 재생용, 편집실에서 빈번히 쓰이는 그리 길지 않은 소스를 보관할 때 사용됩니다. 테잎저장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이나 랜덤 억세스, 멀티플 억세스가 가능하여 많은 영역에서 사용합니다. 요즘의 비선형 편집장비에는 고급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에서는 크게 뒤지지 않는 DDR 장비가 많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 DLT
Digital Linear Tape의 약자입니다. 보통 디지털 이미지나 사운드 데이터 즉 컴퓨터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치입니다. DAT테잎과 똑같이 생겼으나 신호기록 포맷이 다릅니다.
 
▷ Dolby
아날로그 테잎에 녹음할 때 적용하던 소음 저감(noise reduction)기술입니다. Dolby A, B, C, SR등의 세부규격이 있습니다.
 
▷ Dolby Digital
Dolby 연구소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멀티채널 사운드 코딩 방식입니다. 타채널과 완벽히 분리되어 있는 5채널의 오디오(front left, front right, rear left, rear right, center)와 추가로 Woofer Effect Channel이 있습니다. 데이터는 AC-3라는 방법으로 코딩되며 통상 64KB/sec부터 640KB/sec의 데이터레이트를 가집니다. 이 방식은 DVD에 채용되어 있습니다.
 
▷ Drop Frame TimeCode
NTSC표준의 방송체계에서 실제 시간과 테잎의 타임코드와의 시간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제안된 타임코드의 한 방식입니다. NTSC 방식은 1초에 29.97 frame만을 기록하므로 초당 0.03 frame이 실제 시간과 차이가 생깁니다. 1초에 0.03 frame을 하루로 환산할 경우에는 86.4초가 실제시간과 틀려지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1분당 2 frame을 건너뛰고(drop)타임코드가 돌아갑니다. PAL이나 Secam 방식의 표준을 쓰는 유럽이나 동구권에는 이런 개념 자체가 없습니다. 타임코드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장비는 Drop Frame 모드와 Non-Drop Frame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 DV
디 지털컴포넌트 비디오와 디지털오디오를 6.35mm(1/4인치)폭의 테잎에 4:1:1방식으로 8bit 양자화하고 5:1압축까지 하여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이 압축에는 DCT이론이 쓰입니다. 그래서 5:1이라고 보기 어려운 훌륭한 화질을 보여줍니다. DV의 데이터레이트는 25Mbps입니다. 디지털 오디오는 12bit 32Khz 모드로 4채널, 16bit 48Khz 모드로 2채널을 기록합니다. DAT만큼이나 작은 DV테잎은 (정확히 말하면 mini DV)는 표준모드로 60분을 기록하며 표준 DV 테잎은 최대 270분을 기록합니다.
 
▷ DVCAM
DV기술에 기반을 둔 포맷으로 DV에 비하여 4:1:1 샘플링이 4:2:0 샘플링으로 바뀌었고, DV방식의 데이터 트랙의 폭이 10mm인데 비하여 DVCAM은 그 폭이 15mm로 바뀌었습니다. 비례하여 테잎의 주행속도는 50% 더 빨라졌습니다(28.2mm/sec). DV가 가정용 표준으로 개발된데 비해 DVCAM은 업무용 영역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어 정밀한 데이터 억세스, 신뢰성 있고 내구성 있는 장비의 매커니즘을 갖추어 준 방송용급 시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DVCPRO
Panasonic에서 Sony의 DV를 염두에 두고 개발했는지, 아니면 DV의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DV와 매우 유사한 체계의 기술입니다. 4:1:1 샘플링을 하며, 데이터트랙의 폭은 18mm, 테잎의 주행속도는 DV보다 빠른 33.8mm/sec입니다. DV에서 반복되는 복사시에 일어나는 색번짐 현상을 개선하였고 CTL 트랙을 추가하여 선형 편집(Linear Editing)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CUE 트랙(그냥 추가적인 아날로그 사운드 트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말 그래로 큐 신호나 별개의 오디오, 원본 디지털 오디오의 아날로그 모니터용으로 쓰입니다) 을 추가하여 다양한 목적에 쓰일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DV보다는 훨씬 업무용에 근접된 개념의 체계입니다.
 
▷ DVCPRO 50
DVCPRO를 기반으로 개발한 또 하나의 진보된 개념으로 4:2:2 샘플링과 50Mbps/sec의 데이터레이트를 가지며 테잎의 주행속도도 DVCPRO의 두배입니다. 16bit 48Khz의 2채널의 디지털 오디오를 지원합니다.
 
▷ DVD
Digital Versatile Disk의 약자입니다. 일반 CD와 똑같은 12cm의 지름을 갖는 원판형 저장매채로서 일반 CD의 25배의 저장용량을 가집니다.
 
▷ DVE
Digital Video Effector의 약자입니다. 실시간으로 이펙트를 생성하는 장비입니다. 메모리되어 있는 2D계열이나 2.5D계열(3D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2D인것들을 2.5D라고 하는데 표준적인 용어는 아닙니다)의 이펙트를 입력되는 여러 가지 소스에 실시간 맵핑하여 재생하는 장비입니다. 요즘은 보통 영상 스위처에 일체형으로 개발됩니다.
 
▷ EBU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의 약자로서 유럽방송협회쯤 되겠지요. 제네바에 본부가 있고 방송표준에 대한 규격을 제안합니다.
 
▷ EDL
Edit Decision List 의 약자로서 편집시에 사용한 플레이어나 레코더의 인포인트, 아웃포인트의 타임코드 정보, 표준으로 정의된 디졸브나 와이프의 패턴등을 텍스트의 형태로 저장한 파일형태의 편집정보입니다. 통상 가편집이라고 불리는 off-line 편집에서의 편집데이터를 on-line 편집시에 재사용하기 위하여 EDL을 디스켓에 파일형태로 저장합니다. 그러나 특정장비에서만 만들어지는 효과나 칼라코렉션에 관한 정보, 오디오 레벨에 관한 정보는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야말로 어느 장비에서나 공통화된 표준적인 경우만이 저장됩니다. 보통 on-line 편집실의 에디터에서 재러내어진 EDL 정보와 가편집시에 사용한 촬영원본 테잎을 VCR에 장착하고 auto editing을 수행하면 자동화된 에디터는 자동화된 영상 스위처와 연동하여 가편집의 상황과 동일하게 자동으로 컷편집과 2D 트랜지션 계열의 이펙트를 수행, 가편집과 동일한 결과의 편집물을 만들어 냅니다. 왜 이렇게 off-line과 on-line의 과정을 거쳐서 번거롭게 작업을 할까요. 보통 가편집은 많은 시간을 요합니다. on-line급의 장비를 가진 종합편집실은 많은 작업이 밀려 있으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가편집을 종합편집실에서 수행하기에는 조금 불합리하겠죠. 그렇다고 가편집실에서 겨우 겨우 편집한 것을 종합편집실에서 또 똑같이 하기는 지겹고, 그래서 EDL을 사용합니다. 보통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잘 쓰이는 Sony 포맷과 유럽계열의 CMX 포맷, 미국계열의 CVG 포맷등이 있으며 서로 호환성은 없습니다.
 
▷ ENG
Electronic News Gathering의 약자입니다. 보통 스튜디오급의 장비나 인원과는 달리 보다 적은 인원구성으로, 보다 쉽고 가벼운 장비를 사용한 간단한 작업이나 장비를 말합니다. 원래의 의미는 휴대용 촬영장비가 드물었던 몇십년전의 방송환경에서 휴대가 가능한 장비를 가지고하는 기동성 있는 뉴스 취재의 개념이었으나 현대에는 보다 광범위한 개념으로 이해합니다.
 
▷ EQ
Equalizer의 약자로서 억지로 해석하면 등화기(等化機)라고나 할까요. 오디오나 비디오의 영역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 Field
1 초가 29.97 frame으로 구성된다면 1 frame은 2개의 field로 구성됩니다. odd(홀수) field와 even(짝수) field 이지요. 업무용 디지털 VCR을 보면 조그상태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아주 빠른 빈도로 교차해서 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홀수와 짝수 필드가 교차해서 보여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편집의 경우에는 필드를 염두에 두실 필요는 없으나 속도 변속작업, 이펙트 작업이나 합성 작업, 3D작업에서 적절한 필드 처리는 그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덧붙여서 요즈음의 캠코더에서 잘 쓰이는 Progressive Scan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 개념은 홀수와 짝수의 필드에 동일한 시간축(1/30초간의 데이터를 기록, 필드 기록은 각 필드에 1/60초간의 데이터를 기록)의 데이터를 기록하여 정지시켰을 때 필드가 교차해서 떠는 현상을 없애기 위함인데, 재생중에는 상당히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입니다.
 
▷ Firewire
IEEE 1394가 더 표준적인 용어입니다. IEEE 1394를 찾아 보세요.
 
▷ Generation Losses
매 체를 복사할 때 발생하는 품질의 손상을 말합니다. 우리식 표현으로 하자면 복사하면 화질이 떨어진다..라는 것입니다. 아날로그 매체의 경우 복사할수록 그 신호의 품질은 떨어집니다. 복사할 때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노이즈가 원래의 신호와 혼합되어 복사되기 때문입니다. 아날로그 복사의 경우 보통 3회의 복사에서 원본과 눈에 띄는 수준의 열화(loss)가 나타납니다. 디지털 매체의 복사는 아날로그에 비해서 거의 품질의 손상이 없습니다. 오히려 디지털의 경우에는 데이터의 변형이나 손실이 더욱 문제가 됩니다. 대부분의 디지털 데이터는 압축되어 보관되는데 복사라는 것은 그 압축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신호의 형태로 전송하여 기록할 때 다시 압축하는 기록하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의 어느 한부분에서라도 신호의 일부분이 손실되거나 전혀 다른 데이터로 바뀌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무척 괴롭지요. 그래서 디지털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복사에는 원본과 복사본이 다루지 않다는 검증을 하는 과정이 들어가고, 원본과 복사본의 데이터가 다를 경우 다시 원본과 동일한 데이터로 복원해 주는 과정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디지털 체계는 아날로그 체계에 비하여 휠씬 복잡하고 비쌉니다.
 
▷ GPI
General Purpose Interface의 약자로서 단순하게 start와 stop 명령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주로 업무용급 이상의 방송장비에 탑재되는 단순한 인터페이스로서 각 장비에 장착된 GPI 단자를 연결하여 독자적으로 수행되는 여러 가지 작업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보통 에디터와 연동하여 스위처에서 발생하는 특정 이팩트를 동기화 시킬 때나, 스위처와 자막기를 연동시켜 페이드 인-아웃이 수행될 때 자동으로 자막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게 하는 기능들이 통상 GPI를 통하여 수행됩니다.
 
▷ HDCAM
디 지털베타캄의 기술에서 발전된 HDTV포맷의 한 종류입니다. 보통 NTSC 베타캄이 4:3비율의 가로축 720픽셀, 세로축 486픽셀인데 비하여 HDCAM은 가로축 1920픽셀, 세로축 1080픽셀, 16:9비율(Aspect Ratio)을 가집니다. 디지털 베타캄과 거의 동일한 데크 메커니즘과 동일한 카셋트 테잎의 형태를 가지며, 통상 원본데이터의 4:1로 압축되고, 그 데이터레이트는 140Mbits/sec에 이릅니다.
 
▷ 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약자로서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표준화되지는 않았으나, 보통 NTSC는 16:9 비율의 1125라인 수평 해상도와 초당 29.97프레임, PAL은 16:9비율의 1250라인 수평해상도의 초당 24프레임이 보여질 수 있는 고선명도 텔레비젼 전송체계와 TV를 말합니다.
 
▷ Hi 8
8mm테잎을 사용하는 소니의 독자적은 영상규격으로서, 휘도(Y)신호와 색도(C)신호가 섞여서 다루어 졌던 콤포지트 체계의 Video 8체계가 휘도(Y)신호와 색도(C)신호를 분리한 Hi 8 체계로 발전하며 주로 가정용 캠코더에 채용되었습니다. Hi 8에 Digital 개념을 더하여 Digital 8로 발전합니다.
 
▷ Hybrid Systems
우리말로 혼성체계라고나 할까요. 편집시스템의 영역에서 hybrid system 이란 선형편집체계(Linear Editing System)와 비선형편집체계(Non-Linear Editing System)가 하나의 작업물을 완성하기 위하여 같이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각 시스템에서 장점을 적절히 사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면, 하나의 체계만을 이용하여 편집할 때보다 엄청 빠른 수행속도를 보입니다. 예를 들면 1시간짜리 완성물 내내 모션이 있는 수백개의 자막을 처리해야 한다고 하면 비선형 편집에서는 렌더링 시간이 아주 많이 걸릴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선형시스템에서 가편집을 하는데 많은 컷의 순서를 앞뒤로 계속 바꿔가며 작업해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양쪽 다 아찔할 것입니다. 이럴 때 두가지 시스템이 모두 있다면 빨리 되는 체계를 골라서 사용할 수 있겠지요.
 
▷ IEEE1394
초당 400Mbits(약 40Mbytes)를 전송하는 고속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입니다. Apple사에서 개발되었습니다. Apple사에서는 Firewire라고 하며 기술표준용어로 IEEE1394라고 합니다. Sony 에서는 i.Link라고 하는 Digital Video 전용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IEEE1394와는 데이터전송률(IEEE1394는 400Mbits/sec, i.Link는 100Mbits/sec)과 커넥터의 형태(IEEE1394는 6pin 단자, i.Link는 4pin 단자)가 다릅니다. 캠코더, VCR, 프린터, 스캐너, 하드디스크등을 SCSI처럼 한줄로 줄줄이 엮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포트에 최대 63개의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길이는 특별한 보조장치 없이 4.5m로 제한되어 있습니다만, Data Repeater를 사용하여 좀더 길게 연장할 수 있습니다.
 
▷ i.Link
Sony에서 IEEE1394를 기반으로 Digital Video용으로 다시 개발한 IEEE1394표준의 지류라고나 할까요. 디지털 캠코더나 디지털 VCR등 영상장비에 주로 탑재되는 디지털비디오 전용 인터페이스입니다. 전송속도는 현재 100Mbits/sec(100Mbit/sec는 10Mbyte/sec와 비슷하구요, DV의 데이터 레이트가 3.6Mbyte/sec 임을 고려하면 전혀 문제없는 수치입니다.)이구요, 4pin DV 단자를 사용합니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디지털 영상장비에 장착되고 있습니다.
 
▷ Interpolation
보간(補間)이라고 억지로 번역되는데 쉽게 말하자면 중간의 빈곳을 채워 넣는다는 말입니다. 모션이펙트를 줄 경우에 a점과 b점을 지정하면 그 중간의 데이터는 자동으로 계산되어 채워진다는 개념입니다. 더 쉽게 말하자면 자막을 넣는데 좌에서 우로 흐르는 자막을 원한다면 대부분의 편집프로그램이나 스위처, 이펙터는 그 모션을 정의할 때 좌측에 한 점을 키프레임으로 지정하고 우측의 한점을 키프레임으로 지정합니다. 그 중간은 전혀 지정되지 않아도 시스템이 중간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한 장씩 프레임을 생성합니다. 결과적으로는 자동으로 계산되어 만들어진 중간의 프레임이 연속으로 재생되며 모션을 이룹니다. 이러한 과정을 인터폴레이션 보간이라고 합니다.
 
▷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의 약자로서 여러 가지 방송표준을 제정하는 조직입니다.
 
▷ ITU-R 601
ITU 에서 정의한 표준중에 워낙 유명한 용어라서 하나만 설명합니다. 이는 아날로그 컴포넌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할 때의 표준을 정의합니다. 4:2:2 샘플링을 하며, 휘도(Y)신호는 13.5Mhz로, 색도 신호 2가지는 6.75Mhz의 빈도수로 샘플링 합니다.
 
▷ Jog/Shuttle
VCR에서 테잎의 주행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게 해주는 휠 입니다. Jog 모드는 정밀하게 프레임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며, Shuttle 모드는 가변속도로 빠르게 원하는 위치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예전에는 업무용 VCR에만 장착되었으나 요즘에는 가정용 VCR에도 장착되며, 비선형 편집 시스템의 보조장치로 채택되기도 합니다.
 
▷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약자로서 정지화상의 압축에 관한 표준을 말합니다.
 
▷ Key-frame
키프레임이란 효과기나 편집프로그램에서 구현하려고 하는 사용자 정의 이펙트의 시작점이나 중간점 끝점을 말합니다.
 
▷ Keying
키 잉이란 어떤 그림의 특정한 부분에 다른 그림의 어떤 특정한 부분을 중첩(superimpose)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영상작업에 있어서 합성될 그림이나 자막등이 원본그림(background image)에 중첩되어서 보여지는 과정이 모두 키잉입니다. 한국식 표현으로는 그냥 키작업이라고도 하지요. 크게 chroma-key, luminance-key, external-key 이 세가지 종류의 키가 현재 방송이나 포스트 작업에 쓰이고 있습니다. 특정한 색상이나 혹은 특정한 색상을 제외한 영역을 중첩의 대상으로 하는 것을 크로마키(chroma key)라고 하고, 특정 수준 이상이나 이하의 휘도를 가진 신호를 중첩의 대상으로 하는 것을 루미넌스키(luminance key)라고 합니다. 실제보다 설명이 더 어렵군요. 흔히 일기예보의 아나운서의 예에서처럼 파란색을 제외한 부분(인물만 보이겠지요)을 일기도에 중첩시키는 것이 크로마키입니다. 크로마키의 대부분의경우 얼굴색과 대비된다는 이유로 제거대상 색은 파란색(blue)이 주종을 이루지만, 크로마키는 어떤 색이라도 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루미넌스키는 크로마키처럼 쉽게 구별되지는 않지만 오히려 크로마키보다도 더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방송용 자막은 제작될 때 검은색의 바탕에 제작됩니다. 여기서 검은색 바탕은(사실 영상의 영역에서 검은색은 색이라고 하지는 않지요. 그냥 크로마가 없고 루미넌스 레벨이 0 인 신호일뿐입니다.) 스위처나 이펙터에서 루미넌스키를 적용하면 그냥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바탕이 됩니다. 결과적으로는 바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소가 원본의 그림에 중첩되어 보이게 됩니다. 대부분의 방송용 자막은 기술적으로 루미넌스키로 작성됩니다. 포토샵의 알파채널의 경우를 방송용어로는 external-key라고 합니다. 위의 두가지 키(크로마키와 루미넌스키)는 따로이 키를 생성하지 않고 원본의 특정한 부분을 키로 하는 self-key나 internal-key라고 말할 수 있는데 비하여, 이 external-key는 key가 되는 소스를 포토샵의 알파채널처럼 별도로 제작하여 원본의 이미지와 같이 합성합니다. 많이 보는 CF에서 날라 다니는 물체나, 하늘(CF의 하늘은 거의 100% 합성한 하늘입니다)의 합성, 소품TV나 컴퓨터 모니터속의 영상, 3D 그래픽 이미지와 실제 그림과의 합성은 대부분 external-key를 가지고 정밀하게 합성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요즈음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편집과 합성이 대중화되면서 위의 세가지의 경우에 여러 가지 변수가 첨가되거나 완전히 새로운 키의 개념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프리미어만 보더라도 10가지 정도의 키가 존재합니다.
 
▷ Layer
영 상을 합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한겹, 한겹의 이미지를 말합니다. 들판 위에 집을 합성하고, 산을 합성하고, 구름을 합성하고, 그 장면을 바라보는 인물을 합성할 때, 모든 요소는 각각 하나의 레이어가 됩니다. 이 각각의 레이어는 바로 위에 언급한 keying을 통하여 원하는 부분만이 배경이미지 위에 합성됩니다. 이러한 레이어 작업은 원본 소스 (original source)의 무수한 복사과정이 전제가 되기 때문에 테입을 기반으로 하는 선형 편집 시스템보다는 하드디스크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가 자유로이 복사되는 비선형 편집 시스템에서 원활하게 수행됩니다.
 
▷ Linear Editing
최소한 두 대의 VCR을 이용하여 player 측 테잎의 편집하고자 하는 내용을 Recorder 측의 테잎에 순서대로(linear)복사하며 수행되는 편집의 형태입니다. 처음부터 완벽히 순서대로 편집하면 별 어려움이 없겠으나, 자꾸 편집의 순서를 바꾸거나, 교체하고자 하는 편집소스의 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 거의 완성된 작업물의 중간에 다른 그림을 끼워넣어야 할 경우가 생기면 무척이나 번거롭겠지요. 대부분의 경우 끼워넣는 그림 뒷부분은 다시 한번 복사되어야 하겠구요. 또한 많은 수의 원본테입을 대상으로 편집을 할 경우에는 계속 테입을 갈아 끼우고, 원하는 위치로 감고(fast-forward or rewind)하는 과정이 무척이나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의 형태입니다.
 
▷ LTC
Longitudinal Timecode의 약자로서 비디오테잎의 오디오 트랙 바깥쪽처럼 세로로 길게 기록가능한 별도의 트랙에 기록하는 타임코드입니다. 60hz의 주파수를 갖는 오디오 신호와 비슷한 형태의 펄스(pulse)신호로서, 세로로 길게 기록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정속재생이나 고속으로 빨리감기나 되감기를 할 때 검출되며, 정지하였을때는 검출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업무용 VCR에서는 LTC를 VITC와 같은 타임코드와 병용하여 사용합니다. 뒤에 다시 언급하겠습니다만 VITC는 정속재생 이하의 속도나 정지시에는 검출되나 테입이 고속으로 회전할때에는 검출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업무용 VCR에서는 특정 속도를 기준으로 LTC와 VITC가 교대로 작동합니다.
 
▷ Luminance key
특정 수준 이상이나 이하의 휘도를 가진 신호를 중첩(super-impose)의 대상으로 하는 키를 루미넌스키(luminance key)라고 합니다. 루미넌스키는 크로마키처럼 쉽게 구별되지는 않지만 오히려 크로마키보다도 더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방송용 자막은 제작될 때 검은색의 바탕에 제작됩니다. 여기서 검은색 바탕은(사실 영상의 영역에서 검은색을 색이라고 하지는 않지요. 그냥 크로마가 없고 루미넌스 레벨이 0 인 신호일뿐입니다.) 스위처나 이펙터에서 루미넌스키를 적용하면 그냥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바탕이 됩니다. 결과적으로는 바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소가 원본의 그림에 중첩되어 보이게 됩니다. 대부분의 방송용 자막은 기술적으로 루미넌스키로 작성됩니다. 위의 Keying 항목에서 다른종류의 키와 비교해서 설명됩니다.
 
▷ M-JPEG
Motion JPEG의 약자로서 정지화상의 압축기술인 JPEG에서 발전한 영상압축기술의 한 종류입니다. M-JPEG의 압축과정에서는 영상을 이루는 각각의 프레임이 JPEG의 형태로 압축되고 연속해서 배열되어 영상의 형태를 이룹니다. M-JPEG은 DV처럼 표준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각 하드웨어(캡춰보드)메이커의 기술에 따라 성능과 화질의 차이가 나며, 각 제품간의 데이터 호환성도 적은편입니다. 통상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신호로 하던 구형 캡춰보드에서 많이 쓰인 기술입니다. DV와 비교하여 훨씬 큰 데이터 용량과 컴퓨터 성능을 필요로 합니다. 구형 Miro 보드, 구형 Digisuite보드, 구형 Targa1000, 2000시리즈 보드, media100 구형보드등에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 동영상 전문가 그룹이란 뜻이며, 통상 MPEG표준에 의해 압축된 형태의 영상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MPEG 의 데이터압축원리를 설명하겠습니다. 1초에 30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은 프레임별로 분해해 보면, 특정프레임 전후의 프레임은 특정 프레임과 많은 중첩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M-JPEG기반의 압축은 전후프레임의 중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대상이 되는 현재의 프레임만을 압축의 대상으로 합니다. 그러나 MPEG은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재생될 때 대부분의 경우 전후의 프레임은 중첩되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중첩된 부분은 압축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압축을 진행하므로 전체적으로 보면 데이터의 사이즈가 많이 축소됩니다. 중첩된 부분의 데이터는 그 데이터가 이동하는 흔적을 추적하여 움직임의 좌표만을 기록하므로 원본의 영상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이동에 관한 데이터만을 저장하게 됩니다.
MPEG은 GOP(Group of pictures)라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이 GOP는 I(Index frames)프레임과, B(Bi-Directional frames)프레임과, P(Predicted frames)프레임으로 구성됩니다. I프레임은 뒤따르는 B와 P프레임의 지표(index)가 되는 프레임으로서 한 프레임의 완전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뒤따르는 B프레임은 전후프레임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후에 중첩되지 않은 데이타와 중첩된 데이터의 이동흔적에 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P프레임은 현재의 프레임과 바로 직전의 프레임에 관한 중첩되지 않은 데이타와 중첩된 데이터의 이동흔적에 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B프레 임과 P프레임은 별개로는 하나의 완전한 형태의 프레임을 복원하지 못합니다. 전후프레임의 상관관계에 의해 하나의 GOP단위가 디코딩 되어야만 전체의 영상을 재생할 수가 있습니다. 당연히 하나의 GOP단위에는 하나 이상의 I프레임이 존재하고, B와 P프레임은 표준에 따라, 혹은 사용자 정의에 따라 구성될 수 있습니다. 통상 B와 P프레임의 갯수가 적을수록 화질은 원상태로 복원될 확률이 높아져, 좋은 화질을 가지게 되고, 사이즈는 커집니다.
디지털 편집의 개념에 있어서 하나의 GOP단위의 중간을 자를수는 없습니다. 당연히 GOP단위로 편집을 하여야겠지요. 그러나 MPEG이라는 포맷 자체는 편집을 위해 준비된 포맷은 아닙니다. 편집이 끝난 영상의 화질을 최대한 유지하며 사이즈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 MPEG의 목적이니까요.
요 즘에 발매되는 MPEG2기반의 편집보드는 편집을 전제로 캡춰할때는 GOP가 I프레임만으로 구성됩니다. 당연히 각각의 프레임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편집이 됩니다. 그러나 표준적인 MPEG2로 재구성할때는 적지않은 렌더링시간이 소요됩니다.

▷ MPEG-1
데 이터레이트가 0.5Mbps에서 1.5Mbps로 주로 PC상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압축재생합니다. 예전에는 CD-ROM에서 Full Frame의 영상을 재생할 목적으로 주로 쓰였으나, 현재는 그 용도가 많이 변화하여, 다목적의 영상파일 제작이나, 웹에서의 스트리밍도 가능합니다.
 
▷ MPEG-2
데이터레이트가 4-15Mbps로 방송용 화질의 비디오를 디지탈로 전송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통상 DVD의 형태로 가공이 되나, MPEG-2 파일형태로 생성하여 위성을 통한 디지털 방송의 전송까지 영역이 확장되었습니다.
 
▷ MPEG-3
데이터레이트가 20-40Mbps로 HDTV(High Definition TV)를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MPEG2로 그 표준이 통합되었습니다.
 
▷ MPEG-4
휴대용 멀티미디어, 웹 스트리밍, 네트워크를 을 통한 원거리 감시 시스템등, 일반 비디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전송속도(4.8-64Kbp)를 가진 대상에 쓰입니다.
 
▷ Non-drop frame
NTSC 방식은 1초에 29.97 frame만을 기록하므로 초당 0.03 frame이 실제 시간과 차이가 생깁니다. 1초에 0.03 frame을 하루로 환산할 경우에는 86.4초가 실제시간과 틀려지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1분당 2 frame을 건너뛰고(drop)타임코드가 진행되는데 이 방식을 Drop frame 방식이라고 하고, 반대로 실제시간과의 차이는 무시하고 1초에 30프레임씩 진행시키는 타임코드를 Non-drop frame TC(time-code)라고 합니다. 통상 실제시간과 동기시킬 필요가 있는 방송송출환경이나, 방송송출을 목적으로 촬영 편집될 때는 당연히 Drop frame TC를 사용하고, 길이가 짧고, 절대적인 길이가 중요한 정밀한 CF합성이나 3D CG작업, 실제시간과 동기시킬 필요가 그리 크지 않은 판매용 비디오 타이틀 등에서는 Non-drop frame TC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Non-linear Editing
테 잎에 직접 기록하는 리니어 에디팅의 개념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영상이나 음성의 재생이나 기록에 주로 하드디스크 매체를 사용하여 빨리감기나 되감기의 과정없이 바로 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편집체계를 말합니다. 보통 컴퓨터 기반의 편집시스템과 동일한 의미가 됩니다.
 
▷ NTSC
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의 약자로서 미국에서 개발된 방송시스템의 표준을 말합니다. NTSC는 525라인의 수평해상도와 초당 29.97프레임을 재생하며, 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등 주로 미국의 지배력 하에 있는 국가에서 쓰입니다.
 
▷ Off-Line Editing
원 본의 화질손상과 완전한 수준의 편집이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순전히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off-line 편집은 아직도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off-line 편집이 끝나면 편집에 관한 대부분의 정보가 들어있는 EDL을 on-line 편집실로 전송하여 최종적인 송출용 편집을 하게 됩니다.
 
▷ On-Line Editing
원본대비 최상의 화질과 완성도로 최종 송출용 완성판을 편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Off-Line 편집에서 전송되어온 EDL(EDL항목 참조)을 참조하여 완성판을 편집하고, 자막작업, 색상보정작업, 합성작업등을 추가합니다.
 
▷ PAL
Phase Alternating Line의 약자로서 유럽 쪽에서 주로 쓰이는 방송시스템의 표준을 말합니다. PAL은 625라인의 수평해상도와 초당 25프레임을 재생합니다.
 
▷ PAL-plus
4:3의 종횡비를 갖는 PAL에서 조금 진보하여 16:9의 종횡비를 갖는 방송시스템의 표준을 말합니다.
 
▷ Post Production
외 부의 기획, 촬영물을 주로 편집해주는 전문편집실을 말합니다. 보통 CF의 편집이나 합성, 영화의 특수작업, 방송국의 외주프로그램 편집, 각종 타이틀 영상이나 브릿지 영상등을 편집합니다. 송출위주로 장비가 구성된 방송국에 비해 고난이도 편집과 합성에 적합한 장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의 경우 3D CG작업을 겸하기도 합니다.
 
▷ Preread
미리 읽는다는 뜻입니다. 무슨 개념인가 하면 Digi-Betacam과 같은 신형 디지털 VCR에 채용되는 개념으로서 하나의 헤드에서 재생된 특정 프레임이 다시 그 프레임에 녹화된다는 개념입니다. 미리 읽혀진(preread) 프레임은 스위처에서 원하는 형태로 가공되어 다시 녹화되는데 이 때 도로 재생한 VCR의 원래 프레임의 위치에 덮어씌워 녹화될 수 있습니다. 개념은 혼란스럽지만 사용은 간단합니다. 보통 디졸브나 와이프는 3대의 VCR(플레이어1, 플레이어2, 레코더)이 필요했으나, 이 Preread 기능을 가진 VCR이 있으면 2대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플레이어가 영상을 재생하고, Preread기능을 가진 레코더는 이미 녹화된 신호를 재생하여(이때 재생된 신호는 플레이어2의 재생신호와 개념상 동일함) 스위처에서 플레이어의 신호와 같이 가공하여 다시 녹화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원본의 영상을 덮어씌워 녹화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잘못 조작하였다고 원본을 되살릴 수는 없습니다. 통상 극도로 자동화된 스위처, 에디터와 연동하여 사용합니다.
 
▷ Quantiaizing
양자화라고 해석됩니다. 먼저 아래 Sampling Ratio 항목의 설명을 먼저 참조하세요. 특정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의 많고 적음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양자화라고 합니다. 즉 4:2:2샘플링에 10bit양자화라고 한다면, 휘도(Y)는 13,5Mhz(1초에 13,500,000번)샘플링, 색도 두가지(R-Y,B-Y)는 6,75Mhz(1초에 6,750,000번)샘플링되고, 샘플링된 데이터 하나를 10bit(2의10승) 즉, 1024단계로 많고 적음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당연히 8bit 양자화보다 10bit 양자화가 더욱 정밀한 영상을 표현합니다만, 사이즈는 더 크겠지요. 디지털 비디오의 영역에서는 보통 4:2:2 샘플링에 10bit 양자화를 하고 일부 구형 디지털 장비는 8bit 양자화를 하기도 합니다. 디지털 오디오의 영역에서 44.1Khz 16bit Stereo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의 개념으로 해석됩니다.
 
▷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or Independant) Disks의 약자로서 다수의 하드디스크를 특정한 규격에 의해 배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Raid System은 컴퓨터내에서 하나의 하드디스크로 인식되며, 일반적인 저장장치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대용량과 빠른 속도, 높은 수준의 데이터 안전성을 보여줍니다. 대용량, 고속전송을 필요로하는 서버나 비선형 편집의 영역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Raid를 구현하는 방법이나 하드웨어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예전에는 비교적 고가의 SCSI하드디스크를 이용한 Raid System을 주로 사용하였고, 요즘에는 저렴한 EIDE하드디스크를 이용한 Raid System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Raid Level
Raid System에는 0부터 5까지 6가지의 Raid level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속도와 데이터 안정성을 주요 변수로 하여 서로 조금씩 다른 설정이 존재합니다.
 
▷ RAID 0
RAID level 0는 다수의 하드디스크를 오로지 빠른 입출력을 위한 상태로 배열합니다. 데이터는 일정단위로 쪼개어져 각각의 하드디스크에 나뉘어 기록됩니다. 만일 데이터의 손실이나 하드디스크 자체의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원상태로 복원할 가능성은 대단히 낮습니다. 극단적인 경우에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결함이 생기면 나머지 하드디스크에 있는 모든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 할 수도 있습니다. 결함발생의 확률은 단일 하드디스크에 비해 그 구성된 하드디스크의 갯수만큼 높아집니다. 그래서 RAID level 0는 중요한 데이터의 저장보다는 빠른 입출력이 필요한 영상편집과 같은 영역에 주로 쓰입니다. 보통 striping이라고도 부릅니다.
 
▷ RAID 1
RAID level 1은 데이터를 동일한 두 개의 하드디스크, 혹은 RAID level 0로 구성된 두 개의 stripe set에 기록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의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RAID level 1은 어느 한쪽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한쪽이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에 적절합니다. 하지만 표시되는 용량의 두배의 용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단가는 비싼편입니다. mirroring이라고도 부릅니다.
 
▷ RAID 2
RAID level 2는 RAID level 1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집니다. 차이점은 에러검출능력이 없는 드라이브를 위해 에러정정코드(Error Correction Code)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RAID level 2는 RAID level 1에 비해 에러정정에 필요한 부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요즘 대부분의 하드디스크는 자체적으로 에러정정기능이 있기 때문에 잘 쓰지 않을 것입니다.
 
▷ RAID 3
RAID level 3은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고, 나머지 하드디스크등에는 RAID level 0로 구성하여 데이터를 분산저장합니다. 데이터 저장용 하드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교체(hot swap)만 하면 시스템은 자동으로 패리티정보를 기초로 하며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복원합니다. 전송속도가 높고, 데이터 안전성이 뛰어납니다만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 동기가능한(synchronized-spindle) 드라이브를 필요로 합니다. 주로 대용량의 순차적인 데이터 전송에 적절합니다. 영상용 Digital Disk Recorder에 많이 쓰입니다.
 
▷ RAID 4
RAID level 3와 거의 유사하나 RAID level 4는 작은 사이즈의 데이터를 랜덤억세스하는 영역에 더욱 적절합니다. 대형 서버체계의 대용량 저장장치에 많이 쓰입니다. 저렴한 가격으로 장애 복구 능력이 요구되거나 빠른 판독 속도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RAID 5
RAID level 5는 패리티 정보를 모든 드라이브에 나누어 기록한다는 것 외에는 RAID level 4와 동일합니다. 그러나 모든 하드디스크에 패리티 정보를 기록하므로 기록속도는 RAID level 4에 비해 늦은 편입니다. RAID level 5는 작고 랜덤한 입출력이 많은 경우 RAID level 4보다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빠른 기록속도가 필수적이지 않다면 좋은 선택이 됩니다. 대형서버체계의 대용량 저장장치에 많이 쓰입니다.
 
▷ Rendering
실시간으로 재생되지 않는 데이터나 이펙트를 보기 위하여 컴퓨터는 그 결과를 열심히 계산합니다. 이 계산과정을 멋있는 말로 렌더링이라고 합니다.
 
▷ Rotoscoping
실 제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 위에 덧붙여 그리는 기법을 말합니다. 컴퓨터 기반의 합성시스템이나 페인팅 시스템에서 타블렛과 펜이라는 도구를 통하여 캡처한 영상 위에 덧붙여 여러 가지 재미있는 표현을 하거나, 합성할 소스를 만들거나, 키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 RS-232
시리얼(일렬로 전송한다는 뜻)로 단거리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의 표준. PC의 모뎀이나 타블렛등은 시리얼포트라 불리는 RS-232포트에 접속합니다.
 
▷ RS-422
300m까지의 거리에 시리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의 표준입니다. 이 방식은 업무용 VCR의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로 많이 사용됩니다.
 
▷ Sampling
아 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연속적인 신호를 갖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이론에 따라 미세한 단위로 분할합니다. 보다 정밀하게 분할하면 원본과 최대한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사이즈가 커지게 되고, 덜 정밀하게 분할하면 사이즈는 작아지나 원본과 동떨어진 데이터가 생성될 수도 있습니다.
 
▷ Sampling Ratio
영상의 각 픽셀은 휘도(Y)정보와 색도(R-Y,B-Y)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눈은 색도보다 휘도, 즉 밝기를 더욱 민감하게 인식하므로 통상 휘도를 색도보다 더 높은 비율로 샘플링하게 됩니다. 아날로그 비디오가 디지털 비디오로 변환될 때 휘도는 13.5Mhz로 샘플링됩니다. 즉 1초에 13,500,000번의 빈도수로 샘플링한다는 뜻입니다. 4:2:2라는 표현은 휘도가 13.5Mhz로 샘플링될 때 색도정보 두가지(R-Y,B-Y)가 각각 6.75Mhz(1초에 6,750,000번)로 샘플링 된다는 뜻입니다.
 
▷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컴퓨터에 쓰이는 고속의 데이터전송 인터페이스입니다. SCSI는 초당 5MB/sec의 전송속도, Fast SCSI는 초당 10MB/sec, Ultra SCSI는 초당 20MB/sec의 전송속도로 7개의 디바이스까지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Ultra Wide SCSI는 초당 40MB/sec, Ultra 2 SCSI는 초당 80MB/sec의 전송속도로 15개의 디바이스까지 연결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초당 160MB/sec를 지원하는 스카시 어댑터도 출시되었습니다.
 
▷ SDI
Serial Digital Interface의 약자로서 소니에서 디지털 VCR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로 개발되었습니다. 아날로그 비디오의 연결에 쓰였던 75옴 동축케이블과 BNC커넥터를 사용한 전송선을 사용하여 최장 200M까지 연결이 가능합니다. SDI의 전송률은 초당 270Mbit에 이르며, 비압축 디지털컴포넌트 영상과 디지털 오디오, 타임코드도 하나의 케이블에서 일렬로 전송됩니다. 즉 SDI를 탑재한 VCR은 BNC케이블 하나로 비디오와 오디오, 타임코드까지 전송할 수 있습니다.
 
▷ SECAM
Sequential Couleur a Memoire(원래 불어인데 위에 점은 못 찍었어요.)의 약자로서 프랑스에서 개발한 방송시스템의 표준입니다. PAL과 거의 유사한 체계이고, 사실 두 방식간의 변환도 매우 쉽다고 합니다. 수평해상도 625 line에 1초당 25프레임을 표준으로 합니다. 프랑스와 동유럽권, 그리고 북한에서 쓰이는 표준입니다.
 
▷ SMPTE
Society of Motion Pictures and Television Engineers의 약자로서 방송기술, 또는 영상기술전반에 관해 표준을 제정하는 모임
 
▷ SMPTE Timecode
SMPTE 에서 정의되어 현재 쓰이고 있는 표준 타임코드를 말합니다. Tape 상에 존재하는 특정 프레임의 절대적인 주소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형식은 hour : minute : second : frame의 형태입니다. (ex 01 : 24 : 37 : 23)
 
▷ S-VHS
가정용 영역에서 사용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포맷입니다. 일반 VHS와 비교해서 테잎의 도포소재가 다르고, 약 400 line 정도 수평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VHS에 비해서 고해상도를 유지하며, Y/C(휘도/색도)가 분리된 영상을 입출력할 수 있습니다.
 
▷ S-Video
휘도(Y:brightness)신호와 색도(C:chrominance)신호가 분리되어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한 형태입니다. 통상 휘도신호와 색도신호가 분리되지 않은 composite 신호보다 더 좋은 화질을 유지합니다. Y/C라고도 표현합니다.
 
▷ TBC
Time Base Corrector의 약자로서 비디오 재생에서 일어날 수 있는 노이즈나, 회전속도 불균일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영상재생등을 수정하는 장치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보통 TBC에는 A/D와 D/A컨버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테잎에서 재생되는 프레임을 디지털화하여 버퍼에 한 장씩 저장하고, 외부에서 동기화 하기 원하는 Sync 신호에 맞춰(Gen-Lock하여) 정렬된 영상을 한 장씩 재생합니다. 물론 연속적으로 이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비디오로 보이겠지요. TBC내에서는 Sync에 맞춘(Gen-Lock된) 일정한 시간축을 토대로 불균일 하게 입력되는 프레임을 정확한 시간축에 맞게 재생하구요. TBC내부에서는 프레임을 저장하는 버퍼가 있으므로 특정 프레임에 노이즈가 섞여 있으면 전후프레임의 데이터를 근거로 하요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도 내장되어 있습니다.
 
▷ Timecode
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부여하는 절대번지(or 절대주소)입니다. LTC와 VITC, SMPTE Timecode 란을 먼저 참조하세요.
 
▷ Timeline
대부분의 비선형 편집시스템에서 영상을 편집하는 영역으로 사용됩니다. 영상

...[더 보기]



에듀고시넷 2014-10-25 (토) 22:41 9년전
▷ TBC
Time Base Corrector의 약자로서 비디오 재생에서 일어날 수 있는 노이즈나, 회전속도 불균일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영상재생등을 수정하는 장치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보통 TBC에는 A/D와 D/A컨버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테잎에서 재생되는 프레임을 디지털화하여 버퍼에 한 장씩 저장하고, 외부에서 동기화 하기 원하는 Sync 신호에 맞춰(Gen-Lock하여) 정렬된 영상을 한 장씩 재생합니다. 물론 연속적으로 이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비디오로 보이겠지요. TBC내에서는 Sync에 맞춘(Gen-Lock된) 일정한 시간축을 토대로 불균일 하게 입력되는 프레임을 정확한 시간축에 맞게 재생하구요. TBC내부에서는 프레임을 저장하는 버퍼가 있으므로 특정 프레임에 노이즈가 섞여 있으면 전후프레임의 데이터를 근거로 하요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도 내장되어 있습니다.
 
▷ Timecode
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부여하는 절대번지(or 절대주소)입니다. LTC와 VITC, SMPTE Timecode 란을 먼저 참조하세요.
 
▷ Timeline
대부분의 비선형 편집시스템에서 영상을 편집하는 영역으로 사용됩니다. 영상을 알아보기 쉬운 파일이름이나 아이콘등으로 정의하구요. 영상을 원하는 형태로 배열하고, 배열된 형태를 알기 쉽게 표현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 Transition
2차원적인 효과를 써서 표현하는 장면전환이나 장면전환 효과를 트랜지션이라고 합니다.
 
▷ Trimming
대략적으로 여유있게 캡춰받은 영상파일의 컷포인트를 정밀하게 조정하는 행위를 트리밍이라고 합니다.
 
▷ U-matic
업무용으로 쓰이던 구형 아날로그 비디오 포맷입니다. composite 비디오 신호와 2채널의 스테레오 오디오를 포함합니다. 3/4inch(19mm)테잎을 사용합니다. 거의 사용되지 않는 포맷입니다.
 
▷ Underscan
방송용으로 쓰이는 고급형 모니터에 있는 기능으로, 표준모드로는 비디오 신호밖에 모니터 할 수 없지만 이 언더스캔 모드로 설정하면 VITC나 카피방지신호등 비디오신호외에 테잎에 기록된 대부분의 신호를 모니터 할 수 잇습니다.
 
▷ VHS
Video Home System의 약자입니다. JVC에서 가정용 시장을 대상으로 개발한 아날로그 비디오 포맷입니다. 1/2inch(12.7mmm)의 폭을 갖는 테잎을 사용합니다. 낮은 해상도 때문에 방송용이나 업무용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Video-8
Sony에서 가정용 소형 캠코더를 대상으로 개발한 아날로그 비디오 포맷입니다. VHS와 동일한 해상도에 8mm폭을 갖는 테잎을 사용하기 때문에 8mm라고도 부릅니다.
 
▷ VITC
Vertical Interval Timecode의 약자입니다. 테잎의 트랙중 영상이 기록되지 않는 특정부분에 한 프레임에 하나씩 VITC를 기록하게 됩니다. 검출도 비디오헤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지중에나 재생중에는 VITC를 검출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고속회전중에는 영상 자체가 불확실하게 검출되므로 VITC도 검출이 되지 않습니다. 이 때는 위에 언급한 LTC를 사용하여 타임코드를 검출하게 됩니다. 방송용이나 업무용으로 쓰이는 대부분의 장비는 LTC와 VITC가 동시에 탑재되고 특정 속도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타임코드를 검출합니다.
 
▷ WAV
윈도우즈에서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오디오 파일의 형식입니다. 편집을 잘되는 비디오 형태는 AVI, 편집을 잘되는 오디오 형태는 WAV입디다.
 
▷ YUV
PAL시스템에서 컴포넌트 비디오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용어입니다. Y는 휘도신호이고, UV는 색도신호를 표현하기는 하는데 NTSC에서 말하는 R-Y,B-Y와는 기술적인 개념이 조금 다릅니다.

 

주소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총 게시물 7건, 최근 0 건 안내 RS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7  에듀미 응원! 각오! 후기! 가입인사! 작성시 40%추가 할인! 기간연장! 10-26 3169
6  개편된 삼성그룹 신입사원 채용제도 10-25 3204
5  한국도로공사 전공 필기시험 과목 범위 10-25 9639
4  영상 미디어 관련 용어 1 10-25 9631
3  증권사 용어 정리 1 10-25 2910
2  공사공단 시험 관련 교육부 지정 상용한자 1800자 정리 2 10-25 2556
1  공사공단 시험 관련 교육부 지정 상용한자 1800자 정리 10-25 3120
목록
 
스폰서링크
edugroup.co.kr edume.co.kr vstudio.co.kr jejudoin.co.kr enuribook.co.kr 이니시스에스크로확인증 클릭하시면 이니시스 결제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교육포털 커뮤니티 사이트 에듀고시넷 방문을 환영합니다. 문의는 질문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문의전화 : 032-661-6202 / H.P : 010-2037-1497 Copyright ⓒ www.edugosi.net. All rights reserved. Since 2014.